로보락 로봇청소기를 쓰면서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요?”입니다.
하루에 한두 번은 돌리는 제품인데, 과연 전기요금은 얼마나 나올까요?
이번 글에서는 로보락 전기세 계산법부터, 모델별 전력소모 차이, 자동 먼지 비움 도크 사용 시 추가요금까지 현실적으로 분석해드립니다.
1. 로보락 로봇청소기 전력 소비량은?
로보락을 포함한 대부분의 로봇청소기는 청소 중에도 평균 50~100W의 전력만 소모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유선청소기(1000W 이상)에 비해 10배 이상 효율적입니다.
- 로보락 S5 Max: 최대 작동 시 약 21W
- 로보락 Q7+: 청소 시 약 58W, 충전 대기 시 3~5W
- 로보락 S8 Pro Ultra: 최대 작동 시 70W 내외, 도크 포함 시 더 증가
즉, 하루 1시간 사용 기준이면 0.07kWh 수준이므로 전기세 걱정은 크지 않은 편입니다.
2. 자동 먼지 비움 도크가 전기세를 좌우한다
최근 인기 있는 S7+, S8 Pro Ultra 등의 모델에는 자동 먼지 비움 도크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이 도크는 생각보다 대기 전력 소모가 크다는 사용자들의 피드백이 많습니다.
- 도크 대기 전력: 30~35W 유지
- 충전 완료 후에도 전력 지속 사용
- 24시간 내내 전원이 연결돼 있는 경우, 하루 0.7~0.8kWh 소비
월 전기세 약 3,500원~5,000원 정도가 도크 전력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순 청소기보다 도크가 진짜 변수입니다.
3. 로보락 전기세 실제 계산 (2025년 전기요금 기준)
2025년 기준 가정용 전기요금 평균 단가는 1kWh당 약 147원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사용 조건 | 월 전력량 | 예상 전기세 |
---|---|---|
로보락 단독 사용 (1시간/일) | 약 2.1kWh | 약 310원/월 |
로보락 + 자동도크 (24시간 대기 포함) | 약 25kWh | 약 3,675원/월 |
결론적으로 도크 유무에 따라 전기요금 차이가 최대 10배까지 날 수 있습니다.
4. 로보락 전기세 절약 꿀팁
① 도크 전원은 청소 후 꺼두기
충전이 끝났다면 콘센트를 뽑아두는 것이 전기 절약에 효과적입니다.
② 청소 스케줄 최소화
매일 1회로 설정하거나, 먼지 많은 요일에 집중 설정해 효율 높이기
③ 에코 모드 활용
청소 모드를 ‘표준’이나 ‘저소음’으로 설정하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④ 먼지통/브러시 청결 유지
막히거나 오염된 상태로 작동 시 모터 출력 증가로 전기 더 소모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로보락 하루 2번 쓰면 전기세 많이 나오나요?
A. 하루 2시간 사용 시 월 600원 내외입니다. 도크가 없다면 전기세 부담은 거의 없습니다.
Q. 자동 비움 도크 전원은 항상 켜놔야 하나요?
A. 아닙니다. 청소가 끝났다면 꺼두어도 문제없습니다. 대기 전력을 줄이는 것이 훨씬 경제적입니다.
Q. 건조 기능까지 있는 모델은 전기세 더 나오나요?
A. 로보락 S8 Pro Ultra처럼 물걸레 건조가 포함된 경우 전기 소모가 추가되므로 주 1~2회 제한 사용 권장합니다.